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

nuxt 기반 vuetify 전역변수 사용해보기 현재 nuxt 환경에서 web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vuetify도 같이 적용하고 있는데 왠지 모르게 전역변수 설정 파일인 variables.scss 파일이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nuxt.config.js는 다음과 같습니다. vuetify 옵션에 customVariables의 해당 파일의 경로를 넣었는데도 읽어오지 못했습니다. 검색을 하던 중 여기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customVariables는 tree-shaking과 일 때만 동작한다고 합니다. tree-shaking vuetify-loader를 사용하여 자동 tree-shaking을 활성화합니다. 기본적으로 production에서만 실행됩니다. 개체를 옵션 집합으로 설정하여 수동으로 Vuetify 모듈을 전역으로 가져올 수.. 2022. 7. 24.
vscode tomcat war 배포하기 이번에는 vscode 환경에서 gradle 프로젝트를 .war 파일로 배포해보겠습니다. 저는 정상적으로 배포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1개의 컨트롤러와 로그를 남겼습니다. AppController.java @Controller public class App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 = "/index") public String indexView() { return "index"; } } RootConfig.java @Configuration public class RootConfig { public RootConfig(){ System.out.println("RootConfig constructor"); } } vscode에서 gradle 빌드는 vscode의 gradle .. 2022. 7. 21.
웹 서버, WAS, 웹 컨테이너의 차이 웹 서버(Web Server) Client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을 보내게 됩니다. 웹 서버는 이를 해석하여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보내주어야 하는데 여기서 HTTP 를 해석하고, 그에 맞는 데이터 형식으로 보내주는 것이 Web Server 가 할 일입니다. 웹 서버(Web Server)는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 문서나 오브젝트(이미지 파일 등)을 전송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웹 서버란 단순히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없이 보내 HTTP에 맞춰 보내주기만 하면 때문에 정적(Static)이라고 합니다. 단순히 데이터만 반환하면 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빠르며 트래픽의 과부하를 잘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창기 인터넷에서는 정적 데이터에 대한 수요.. 2022. 7. 17.
vscode에서 tomcat 서버 세팅하기 오늘은 vscode 환경에서 기본적인 tomcat 서버를 세팅해보겠습니다. 구글에서 검색해보면 vscode 환경에서 tomcat for vscode를 사용하는 글이 많은데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depreciated 되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플러그인에 적용할 겸 tomcat for vscode에서 대신에 사용하라는 Community Server Connectors 플러그인을 사용해보겠습니다. plugin을 검색하는 창에 community server를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은 플러그인이 검색됩니다. plugin이 설치가 완료되면 왼쪽 하단 부에 SERVERS라는 메뉴가 생성됩니다. SERVERS의 오른쪽 아이콘을 클릭하면 Create New Server라는 항목이 나오면 클릭합니다. Downloa.. 2022. 7. 12.
eclipse gradle기반 spring mvc 세팅하기 이전 포스트에서는 eclipse 환경에서 gradle기반 프로젝트를 생성해봤습니다. 이번에는 이전에 만들어진 gradle 프로젝트를 spring mvc환경에 맞게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위와 같이 생성됩니다. eclipse에서 gradle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건 버전이 오래되었기 때문에 java-library 프로젝트로 생성되기 때문에 조금 손을 봐줍니다. settings.gradle의 파일내용을 변경해줍니다.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폴더명을 참조하기 위해 변경합니다. 아래에 폴더명 변경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include('lib') => include('app') 그리고 build.gradle의 파일내용을 아래와 같이 변경해줍니다. id 'java-library' => id 'wa.. 2022. 7. 8.
Eclipse에서 gradle 기반 프로젝트 생성하기 이번에는 Eclipse 환경에서 gradle, spring을 이용한 기본적인 web mvc 프로젝트를 생성해보겠습니다. Eclipse에서 File > New > Other 을 선택합니다. Gradle을 검색해 Gradle Project를 선택합니다. 그 다음에 Next를 두번 클릭하고 프로젝트 명을 입력합니다. 입력한 후 Finish를 선택하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오류 현상이 나오는 경우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2. 7. 3.